미운코딩2 Part 6 6. 문자열 문자열 (string) 값을 변경할 수 없으며 순서가 있음 큰따옴표(" ")나 작은따옴표(' ')로 구분 같은 따옴표를 세 번씩 쓰면 여러 줄 표현 가능 family = """ 아빠 엄마 언니 진아 """ 문자열 포맷팅 % 연산자를 이용해 문자열에 숫자, 문자열 등을 대입 문자열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방법 %d : 정수형(int) 숫자를 대입 예시) print ('%d' % 3, 6, 9.5) # 3 6 9.5 print ('%d %d' % (3, 9.6)) # 3 9 print ('%d %d %d' % (3, 6, 9.5)) # 3 6 9 print ('%d, %d, %d' % (3, 6, 9.5)) # 3, 6, 9 print('%d x %d = %d' % (2, 3, 2 * 3)) # 2.. 2020. 3. 19. Part 1 ~ 5 1. 프로그램 프로그램이란?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명령을 모아놓은 것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 순차, 선택, 반복 세 가지 기본 구조로 구성 순차 : 정해진 순서대로 명령을 수행하는 것 선택 : 조건에 따라 흐름을 바꾸는 것 (예/아니오 분기점) 반복 : 같은 명령을 조건이나 횟수에 따라 반복하는 것 2. 입력과 출력 print() : 출력 print()는 값을 출력해주는 함수 쉼표(,)로 여러 값 출력 가능 input() : 입력 input()는 실행 중 사용자의 입력을 받음 입력 받은 값을 변수에 저장 가능 name = input('What is your name?') 결과로 터미널에서 입력을 받음 / 입력값을 jina로 한 다음 print(name) // jina 3. 변수와 이름 Variable 변.. 2020. 3. 17. 이전 1 다음